안녕하세요. 눈앞이 깜깜해입니다.

 

전 세계적 점유율 87.54% 사용되는 Microsoft사의 OS인 windows defender 끄는 방법에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7에서는 defender 자가 보호 기능도 떨어지고 성능도 낮아 추가적인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했었습니다.

윈도우10 부턴 defender기본적으로 OS에 내장되어있어 백신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자동 활성화되어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를 차단합니다. 문제는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시 차단해버린다는 것이죠.

이런경우가 한번씩 있을겁니다. PC를 사용하다 보면 압축된 zip 파일은 정상으로 깔려서 문제가 없는데 압축을 푼 이후 내용물들이 보이 않는 경우를 종종 보셨을 겁니다.

 

이 경우에 defender 기능이 프로그램을 바이러스로 인식하여 자동 삭제를 한 것입니다. 물론 악성프로그램 일수 있지만 아닌 프로그램들도 있겠죠?

 

평상시에 악성코드 및 , 바이러스를 지켜주는 고마운 기능이지만 예상치 못한 곳에 필요 이상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있기에 defender 기능을 끄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두면 좋을 거 같습니다.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도록 할까요??

 

 

*. 방법 1 - "WINDOWS 보안으로 끄기"

 

 

가장 쉬운 방법으로 개인적으로 활용을 많이 합니다.

1. 검색란(돋보기 모양)에 보안 or 보안센터 입력 -> "windows 보안 클릭"

 

 

 

 

2.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버튼확인 후 클릭

 

 

3. 좌측 메뉴판에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클릭

 

 

4. "실시간 보호" 기능중 켬 -> 끔으로 변경. 

 

 

 

. 방법 2- "WINDOWS 키 +R 사용"

 

1. WINDOW키(키보드 Ctrl자판과 alt자판 사이에 윈도우 엠블자판) + R 키 동시 입력 

 

입력 후 엔터

2. 좌측 메뉴 "관리 템플릿" 폴더 클릭

 

 

3. " windows 구성 요소" 폴더 클릭

 

 

4.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폴더 클릭" ->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사용 안함 클릭"

 

 

5. 좌측 선택란 "구성되지 않음" -> "사용" 으로 변경후 적용

 

 

 

. 방법 3- "제어판을 이용한 끄기"

 

1. 검색란(돋보기 모양)에 "제어판" 입력

 

 

2. "네트워크 및 인터넷" 클릭

 

3. 좌측 메뉴 "시스템 및 보안" 버튼 클릭

 

 

4. "windows defender 방화벽 설정 또는 해제" 클릭

 

 

5.  "windows defender 방화벽 사용 안함" 선택 후 확인

 

 

몇가지의 windows defender 끄는 기능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defender를 잠시 사용 하지않는다 하여 바이러스나 악성 코드에 위협을 받는건  아니지만 인터넷으로

유입되는 바이러스나 악성코드등 많기에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 후 defender 기능을 꼭 사용하시는걸 권장해드립니다.

 

 

 

'IT&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ng test 쉽게 따라하기  (0) 2021.01.29
SSD 와 HDD 무엇이며? 차이점은??  (0) 2021.01.2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